본문 바로가기
학습 과정 공유 및 후기/SQLD

[ SQLD ]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(2) - 데이터 모델의 성능

by 커피마시는어린왕자 2020. 5. 28.

성능 데이터 모델링의 개요 

  • 성능 데이터 모델링의 정의

    • 데이터의 용량의 커질수록 기업의 의사결정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데이터를 처리하는 속도는 빠르게 처리되어야 할 필요성은 커진다.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성능의 중요성 高
    • 성능이 저하되는 데이터 모델의 경우 크게 세 가지 경우를 고려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
      • 데이터 모델 구조
      • 데이터가 대용량으로 됨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성능이 저하된 경우
      • 인덱스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생성해서 성능이 저하된 경우
    • 주의사항
      • 성능 데이터 모델링은 단순히 반정규화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.
      • 성능데이터 모델링은 정규화를 통해서도 수행할 수 있고 인덱스의 특징을 고려해서 칼럼의 순서도 변형할 수 있다.
      • 또한 대량의 데이터특성에 따라 비록 정규화된 모델이라도 테이블을 수직 또는 수평분할하여 적용하는 방법도 있고 논리적인 테이블을 물리적인 테이블로 전환할 때 데이터 처리의 성격에 따라 변환하는 방법도 성능 데이터 모델링의 범주에 포함될 수 있다.  

 

  • 성능 데이터 모델링 수행시점